‘군인 성과상여금’은 직업군인들의 근무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되는 인센티브로, 사기 진작과 군 조직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. 장교, 준사관, 부사관 등 정규직 군인들이 대상이며, 2025년부터는 평가 방식과 지급 기준에 몇 가지 중요한 변화도 생겼다고 하는데요. 이번 포스팅에서는 군인 성과상여금에 대한 모든 정보를 꼼꼼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
성과에 따라 달라지는 보상, ‘군인 성과상여금’
군인 성과상여금은 장교, 준사관, 부사관 그리고 일부 군무원을 대상으로 연 1회 지급되는 성과 기반 보상금입니다. 병사나 복무 중인 의무복무자는 대상에서 제외되며,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같은 계급이라도 지급 금액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지급 대상 및 요건
구분 |
지급 여부 |
장교, 준사관, 부사관 |
✅ 지급 대상 |
일부 군무원 (우수자) |
✅ 제한적 지급 |
병사 |
❌ 지급 제외 |
60일 미만 근무자 |
❌ 지급 제외 |
지급 요건으로는 평가 기준일 기준 60일 이상 근무해야 하며, 징계자, 장기휴가자, 최하위 평가자 등은 제외됩니다.

성과등급 및 지급률
군인 성과상여금은 국방부 내부 지침에 따라 다양한 등급 체계로 나뉘며, 대표적인 개인별 지급률은 아래와 같습니다.

h3태그: 개인별 성과등급별 지급률 (2025년 기준)
등급 |
지급률(기준 월급 대비) |
1등급 (S등급) |
147% ~ 172.5%↑ |
2등급 (A등급) |
110% ~ 125% |
3등급 (B등급) |
73% ~ 85% |
4등급 이하 (C등급) |
지급 없음 |
※ 등급 간 차등 폭은 최대 74%까지 벌어질 수 있어 동일 계급이라도 실지급액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. 특히 S등급과 C등급 간에는 약 87.5%p 이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성과 평가 요소
성과 평가는 1차 부대 평가, 2차 상급 평가, 3차 국방부 본부 심사까지 총 3단계로 진행되며, 아래와 같은 항목이 반영됩니다.

- 직무 성과 및 정책 수행
- 리더십, 협업능력, 의사소통력
- 전투준비태세, 초동대응력
- 교육 훈련 및 부하 개발
- 부대 운영 및 군기, 복지
- 성과관리시스템 반영 결과
- 2025년부터는 개인 연가 사용 실적도 평가에 포함됨
예상 지급일 및 금액
- 지급 예정일 : 2025년 3월 20일~25일 사이 (부대별 상이)
- 지급 기준 : 2024년 기본급 × 성과등급 비율 (세전 기준)
- 유의사항 : 실수령액은 세금 공제 후 달라질 수 있음
h3태그: 2024년 기준 계급별 평균 지급액 (110% 기준)
계급 |
지급액(원) |
소장 |
7,961,470 |
중령 |
5,872,130 |
대위 |
4,731,870 |
중사 |
4,161,740 |
하사 |
3,591,610 |
※ 등급에 따라 지급액이 70% 수준까지 낮아질 수 있음 |
꼭 확인하세요! 체크리스트
- [x] 장교, 준사관, 부사관, 일부 군무원만 해당
- [x]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
- [x] 평가 제외자: 징계자, 장기 휴가자, 최하위 등급자
- [x] 2025년부터 연가 사용 실적 평가 포함
- [x] 지급 시기: 2025년 3월 20일~25일 (부대별 상이)
- [x] 실수령액은 세전 금액에서 세금 공제 후 결정

군인 성과상여금은 단순한 보너스가 아니라, 개인의 역량과 부대 기여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제도입니다. 특히 2025년부터 연가 사용 실적까지 평가에 포함되며, 더 섬세하고 엄정한 기준이 적용되고 있습니다.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한 만큼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, 지금부터라도 평소 업무 태도와 기록 관리에 신경 써보시길 바랍니다.

👉 국방부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